본문 바로가기
녹색성장위원회
개념
개념
추진배경
국가전략
국가전략
5개년계획
위원회활동
주요소식
회의자료
녹색법령
용어사전
관련 사이트
관련 정보
인사말
위원소개
당연직위원
민간위원
위원회연혁
위원회기능 및 구성
위원회로고
전체메뉴
녹색성장
개념
국가전략
소식
위원회 활동
주요소식
정보
회의자료
녹색법령
용어사전
관련 사이트
관련 정보
위원회
인사말
위원회소개
위원회연혁
위원회기능 및 구성
위원회로고
닫기
회의자료
녹색법령
용어사전
관련 사이트
관련 정보
용어사전
용어사전검색
검색어 입력
숫자검색
한글검색
영문검색
LPI [Liquified Petroleum gas-Injection]
LPG 연료를 직접 분사하는 엔진을 적용하여 기존 LPG 엔진보다 효율을 높인 차
TOE [Ton of Oil Equivalent, 석유환산톤]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에너지의 발열량에 기초해 이를 석유의 발열량으로 환산한 개념으로 석유의 단위는 배럴, 무연탄의 단위는 t(톤), 가스의 단위는 갤런 등으로 각 에너지원의 단위가 다르므로 이를 합계할 때 통일된 단위가 필요하며 이때 사용한다. 1TOE는 석유 1톤을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로, 원유 1t(7.41배럴)의 발열량 1,000만kcal가 기준이 되며, 석탄 1.55톤, 천연가스 1,150㎥에 해당. 1TOE는 일반승용차(연비 12km/ℓ)가 서울-부산을 16번 왕복할 수 있는 휘발유량, 일반 가정(200㎾h/월)에서 약 1년 8개월 동안 쓸 수 있는 전력량이다.
감축목표 [QELROs (Quantified Emission Limitation and Reduction Objectives)]
온실가스 감축의 양적 목표설정방식으로 총량규제, 일인당 온실가스 규제, 배출증가 목표설정, 기준안 추세치 대비 감축목표설정 등이 있다. 특히, 교토의정서상의 의무부담방식은 총량규제방식으로 특정 기준년도 대비 일정한 감축목표를 부과하는 것으로써 이를 QELROs(감축목표)라 한다. 교토 의정서에 따르면 선진 국가들에게 구속력 있는 온실가스 배출의 감축목표(quantified emission limitation &reduction objects : QELROs)를 설정하고, 5년 단위의 공약기간을 정해 2008년-2012년까지 36개국 선진국 전체의 배출량을 1990년 대비 5.2%까지 감축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1차 의무 감축 대상국). 개별적으로 EU는 -8%, 미국은 -7%, 일본은 -6% , 캐나다는 -6%등으로 규정되었다. OECD 회원국들은 이 기간 동안 1990년 대비 5% 이상의 온실가스를 감축하도록 하였다.
이산화탄소 환산 [CDE (Carbon Dioxide Equivalent)]
다양한 온실가스 배출을 지구온난화지수(GWP)에 기준하여 비교 가능하도록 만든 측정수단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하여 나타낸다. 예를 들어 메탄 백만톤은 메탄의 온난화지수가 24.5이므로 이산화탄소 24.5 백만톤으로 나타내게 된다. 이산화탄소가 아닌 탄소를 기준으로 할 때도 있으며 이 경우는 특별히 탄소환산톤으로 불린다. 온실가스 배출량×지구온난화지수(GWP) 참고: 탄소환산 [CE (Carbon Equivalent)]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소형 전자칩을 이용해 사물의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출입통제 시스템이나 전자요금 지불 시스템에 많이 이용.
GTL(Gas-to-Liquid, 천연가스액화)
천연가스를 화학적, 물리적으로 가공하여 액체(liquid)상태의 석유제품을 만들어 내는 기술 및 제품을 통징하는 말이다. GTL 제품으로는 경유, 휘발유, 납사, 왁스, 메탄올 등 많은 종류가 있다. GTL 합성유는 유황성분을 거의 포함되지 않고 방향족 화합물의 함유량이 매우 낮은 이유로 원유를 정제하여 만들어지는 기존의 석유제품에 비하여 매우 청정한 연료로 최근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한 환경규제 강화 추세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제품이 된다.
CTL [Coal-to-Liquid, 석탄액화]
고체상태인 석탄을 휘발유 및 디젤유 등의 액체연료로 전환 시키기 위하여 고온 (430-460℃) 및 고압 (약 100-280기압)의 반응조건 하에서 수소를 첨가시켜서 생성물의 수소/탄소-비를 1.5 - 2.0 정도로 증가시킴으로써 에너지 밀도가 높고 수송 및 보관이 용이한 청정 인조원유를 제조하는 기술. 석탄을 직접 녹여 액화시키는 직접액화기술과 가스화한 후 액화시키는 간접액화기술로 분류됨
CSLF [Carbon Sequestration Leadership Forum]
탄소저감을 위한 국제포럼 우리나라는 현재 저장소 확보를 위한 국제적 모임인 CSLF(Carbon Sequestration Leadership Forum)에 참여, 탄수회수·저장 국제 공동 기술개발에 동의하고, 19대 CSLF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CSLF는 2003년에 미국 주도로 창설됐으며, 우리나라를 포함해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등 전 세계 배출량의 75%를 차지하는 22개국이 가입돼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동해가스전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저장사업의 실증화를 통해 2015년 후반 상용공정을 목표로 하는 로드맵을 제시한 바 있다.
BTL [Biomass-to-Liquid, 바이오매스액화]
나무칩(Wood Chips)등 바이오 매스(Bio-Mass: 축산농가에서 나오는 가축들의 매설물이나 쓰레기장의 쓰레기가 썩으면서 발생하는 메탄이나 기타 가스를 태워서 발전이나 난방에 사용하는 방법)를 원료로 생산된 합성액체연료. 이 공법을 BTL이라고 한다.
탄소환산톤 [TC (Ton of Carbon Equivalent)]
다양한 온실가스 배출을 지구온난화지수(GWP)에 기준하여 비교 가능하도록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기준으로 할 때 이를 탄소의 무게만으로 다시 환산하여 비교하도록 만든 측정수단. 이산화탄소는 탄소원자 1개와 산소원자 2개가 결합하여 생기므로 이 중 탄소만의 무게를 구하기 위해 이산화탄소 환산치에 12/44를 곱하면 된다. (온실가스 배출량×지구온난화지수(GWP)×12/44)
1
2